Author: openus

김진국

시스템이 고속화, 고집적화, 고전력화 됨에 따라 집적회로와 전자기파 영역은 서로 융합되고 함께 해석해야 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반도체 회로와 전자파 두가지를 융합 연구하며, 특히, 전자파 관리 를 위해 반도체 회로, 패키지, 시스템을 설계합니다. [Curriculum Vitae] ● 2020 ~ Present: Professor, UNIST ● 2011 ~ 2020: Associate/Assistant Professor, UNIST ● 2009...

[TEST ]2024-2 학위수여(졸업) 일정 및 제출서류 안내

2024학년도 2학기 (2025.02.) 졸업 일정을 안내드리니, 이번 학기 졸업계획이 있는 학생은 반드시 확인 바랍니다. 학위수여(졸업) 관련 서류는 모두 공과대학 교학팀 학사담당자(108동 U203-2호)에게 제출해주시기 바랍니다. ※ 지난 학기에 논문디펜스에서 탈락하여 다시 디펜스를 준비하는 학생들도 ‘졸업신청 및 논문심사위원위촉’을 진행해야 합니다. 학위수여 희망자 관련 안내사항 (필독) ① 졸업신청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전기전자공학과 전임교원 인재 POOL 모집

UNIST 전기전자공학과는 ‘인류의 삶에 공헌하는 세계적 과학기술 선도대학’이라는 UNIST의 비전에 대해 전기전자공학 분야에서 비전 실현에 동참하실 신임/중견 교원을 초빙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이 인재 등록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PooL에 등록하신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관련 분야의 채용이 진행 시 채용 정보 안내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권민석

포토닉스는 현재 우리 주변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일 뿐만 아니라 미래의 핵심 기 술로 판단되고 있다. 본 연구실은 포토닉스의 여러 분야 중 광 도파로를 기반으로 하는 광 집적회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실리콘 기반의 포토닉 집적회로와 금속과 실리콘 기반의 플라즈모 닉 집적회로 개발을 진행해오고...

권지민

AI 메모리/로직 소자 + 단일 3차원 집적 시스템 탄소 나노튜브, 안정성 있는 이차원 소재, 고전류밀도 산화물 반도체 등 각 소재의 특성에 맞는 소자를 개발하여 다양한 물질의 통합으로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잠재력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로직과 메모리의 교차 적층 기술은 기존 실리콘 칩의 연산장치와 메모리 간...

김경록

차세대 나노 전자소자는 페타스케일 초저전력 디지털 및 THz 아날로그 반도체 시스템을 구현 하는데 필수적인 연구 분야로서, 현재 기가급 CMOS 기반 반도체 시스템의 성능개선과 함께 소모전력 감소를 위한 반도체 소자 기술이 중요한 이슈입니다. 우리 연구실은 초고성능/초저전력 동작의 새로운 소자를 나노구조의 신물질 및 나노전자회로 연구와 병행하여, 다치로직...

김명수

반갑습니다. 울산과학기술원 (UNIST) 김명수 교수의 나노소자기술 연구실입니다. 저희는 나노물질, 로직 및 메모리 소자, 뉴로모픽 응용, 유연소자, 바이오 소자, RF 소자와 관련된 기초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나노소자 및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발견, 이해, 그리고 응용을 통해 사회적 요구에 맞는 새로운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합니다. [Curriculum...

김재준

융합반도체설계연구실은 다양한 학문 간의 융합기 술을 시스템화하기 위해 필요한 반도체 회로 및 시 스템 설계기술을 연구합니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 이스, 헬스케어 및 의료 기기, 환경센서, 스마트센 서 분야를 주요 응용으로 하며 설계된 아날로그/혼 성모드 신호처리칩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을 연계한 시스템 및 플랫폼까지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Curriculum Vitae] ● 2011-Present:...

김효일

WMNL(Wireless & Mobile Networking Laboratory)은 무선/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최첨단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5G/6G, WLAN, AI + networking, communications-computing convergence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WMNL은 항상 혁신적이고 도전적이면서도 이론과 실제 사이의 균형이 잡힌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WMNL의 연구 주제들은 network optimization and schedu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