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openus

변강일

UNIST 안테나기술연구실은 차세대 우주/국방, 5G/6G 및 레이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빔조향 배열안테나 및 메타표면의 설계 및 응용에 특화된 연구실입니다. 밀리미터파 대역 안테나-인-패키지 (Antenna-in-Package, AiP), 재구성 반사판 안테나, 광대역 고출력 배열안테나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우주/국방용 안테나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재구성 지능형 표면(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RIS)과...

변영재

BICDL(빅딜) 연구실의 관심 연구 분야는 집적회로 설계기술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관련 Driver Readout IC와 Power Management IC (PMIC), Consumer Electronics에 필요한 Analog Front-end IC, 의료 기기에 필요한 Bio Sensor interface IC와 의료 기기 시스템 설계 등 회로 설계 분야와, 이와 함께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위한 PMIC, 전기차...

심재영

시각정보처리 연구실은 전기전자공학, 컴퓨터과학, 수학, 인공지능 분야의 지식을 바탕으로 컴퓨터 비전, 영상처리, 기계학습 분야를 연구한다. 주요 연구 주제로는 영상 개선 및 복원, 물체 검출 및 인식, 대용량 3차원 영상처리, 멀티미디어 데이터 압축 등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하는 기술은 시각 지능 시스템, 스마트 자동차, 혼합...

양승준

spl@UNIST는 이미지 획득 시스템 /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 제품 품질 검사 / 플랜트 및 프로 세스 자동화의 응용 분야에서 비정상 신호 처리 / 머신 러닝을 연구합니다. [Curriculum Vitae] ● Samsung Electronics Co. Ltd [Education] ●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Keywords and Topics] ● Nonstationary Degradation Identification & Restoration ●...

유재준

우리는 사람과 영상 사이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보다 더 쉽고, 정확하고, 직관적으로 만들기 위한 모델을 연구합니다. 특히 생성 모델 연구에 관심이 많으며, 생성 모델이 기계가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방법이라고 믿습니다. 우리가 세상을 보듯이 세상을 이해하는 모델을 만들기 위해 새로운 기계학습 기법을 개발하되, 단순히...

윤성환

우리 연구실은 차세대 인공지능 알고리즘/구조 개발과 딥러닝 학습에 대한 이론적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로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이 풀어내야할 다음과 같은 난제들을 해결하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막대한 학습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으면서(data-efficient learning), 연속적인 학습이 가능하며(life-long learning), 학습된 적 없는 데이터/작업에도 높은 일반화를 가지면서(generalization) 분산된 데이터/연산...

윤희인

반도체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많은 혜택을 누리는 현재, wireless/wired 통신 기술과 접목된 반도체 산업은 새로운 서비스들을 위한 플랫폼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발전에 있어 저희는 1. 6G/위성통신 상용화하기 위한 sub-THz-range RF transceiver 개발 및 자율주행/connected car를 위한 C-V2X용 transceiver 개발, 2. Emerging application (Massive IoT, 6G, 등)을 위한...

이종원

최근들어 나노포토닉스를 기반으로한 이미징 시스템, 센서, 광도파로, 광원, 메타물질 등의 응용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리 실험실은 중적외선 (mid-IR) 및 테라헤르츠 (THz) 영역에서 (~1-150THz, or 2-300µm) 나노구조를 이용한 플라즈모닉 소자, 메타물질, 메타표면 및 다양한 광학소자 응용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Curriculum Vitae] ● 2019-Present: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Electrical...

이종은

ICCL의 연구분야는 알고리즘/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설계이며, 이는 응용특화 가속기 설계나 SoC 최적화 등에 매우 중요합니다. ICCL에는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 출신의 학생들이 함께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ICCL에서는 (i) 인공지능/기계학습, 프로세싱-인-메모리 (PIM), 동형 암호 등과 같은 이머징(emerging) 기술을 위한 아키텍처 및 설계 기법의 연구와 함께, (ii) 뉴럴 네트워크...

이훈

ACNL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차세대 통신네트워크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6G 통신 시스템의 지능형 코어망 구조를 설계하는 요소 기술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반기술 연구를 통해 자율주행 네트워크, 군집 무인기 시스템, 그리고 저궤도 위성 통신 시스템과 같은 6G 시스템의 주요 사례들에서, 분산형 무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