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연구센터 및 연구실
- 5T-SPACE 연구센터Website
-
- 센터운영2022.10 ~ 현재
- 센터장변영재 교수
- 사업 목표
울산 경남권 대학과 중소·중견 기업간의 산학공동연구를 통해 네트워크(IoT, 5G), 데이터(Cloud, Big Date), 인공지능 SW(기계학습, 알고리즘), 컴퓨팅, 사이버보안 기술을 개발하여 지역 기업에 관련 기술 접목을 통해 지능형혁신 사업 기술 경쟁력 우위를 견인할 맞춤형 선도 인재 양성. - 연구개발 목표
본 연구는 저전력 초소형 하드웨어 기술과 생체신호 데이터 처리 기술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즉 일상 생활 속에서 몸이 보내는 생체신호를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여 실시간 모니터링과 비대면으로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도화된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이를 위해 사람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바이오 센서 개발, 생체 신호 수집 및 송수신,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 및 변형, 생체 신호의 인공지능, 비대면 진료 시스템 구축 및 사이버 보안 기술 분야 연구 개발을 하려고 함.
- 나노전자 뇌모방 시스템 연구센터(CNeBS)
-
- 센터운영2019.05 ~ 현재
- 센터장김경록 교수
- 사업 목표
나노전자 뇌모방 시스템 연구센터 (CNeBS)는 AI 반도체 소자/집적/패키징부터 회로/시스템/SW알고리즘까지 수직적 통합연구가 가능한 세계최고 수준의 HW/SW 융복합 기술 연구센터입니다. 핵심미래기술인 초절전 AI 뇌모방 시스템을 위해 지능형 반도체와 지능형 센서, 그리고 시스템-온-패키지 기술 등 AI 시스템반도체 핵심 기술 개발을 수행합니다.
- 차세대 저궤도 위성통신 핵심부품 연구센터
-
- 센터운영2022.04 ~ 현재
- 센터장변강일 교수
- 사업 목표
UNIST 전파연구센터(RRC)에서는 차세대 초고속 저궤도 위성통신을 위한 W밴드 컴팩트·고효율·신개념 RF/전력 핵심부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초저궤도 위성(≤ 550 km)용 능동 위상배열 안테나 시스템 및 저궤도 위성(≥ 1,000 km)에 적용 가능한 능동 재구성 반사판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러한 시스템을 원활하게 구동하기 위한 핵심 RF/전력 신소자 개발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 유기발광소자연구센터
-
- 센터운영2012.04 ~ 현재
- 센터장변영재 교수
- 사업 목표
유기발광 연구 센터는 회로 분과, 재료 분과, 소자 분과, 디자인 및 인간공학 분과로 구성 되어 있다. 각 분과에서는 Flexible 및 Stretchable 디스플레이에 탑재 되는 TSP 재료 및 소자 개발, Flexible 및 Stretchable TSP 용 Controller IC 개발, 그리고 이를 인간 공학적 접근을 통한 해석을 연구 한다. 각 연구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유기발광소자 연구를 효과적으로 진행 하고 있다. - 추진연구
Display용 PDN Noise Modeling 및 최적화 기술 개발, 디스플레이 탑재 MIMO 레이다 및 RF Gesture 센싱 기술 연구, 잉크젯 프린팅 기반의 양자점 자발광 다이오드의 공정 개선용 다차원 가교제 개발, 고색역, 고휘도 디스플레이 color perception model 개발, 디스플레이 영상 처리에 대한 spatio-temporal vision model 개발
- 스마트센서 연구센터
-
- 센터운영2015.10 ~ 현재
- 센터장김재준 교수
- 사업 목표
대표적인 융합기술인 센서기술은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들이 접목되면서 스마트센서 기술로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센터에서는 유해가스 환경센서 분야와 웨어러블 헬스케어 및 의료기기 분야 중심으로 센서소자-신호처리칩-서비스플랫폼을 포함하는 융합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